목공
목재 엔드밀 - CNC 엔드밀(절삭공구)의 재질
엔드밀의 재질에는 아래와 같은 다양한 재질이 있지만..목공용이라면 초경(=tungsten carbide, cemented carbide)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목공용 엔드밀은 금속용 엔드밀 보다 강도가 높은 엔드밀을 사용해야 한다. HSS와 같은 재질은 사용은 가능하지만 마모성 등 이런저런 요인을 감안할 때 고려 대상이다.
탄화텅스텐[tungsten carbide]: 미세한 입방형의 결정을 갖는 강회색의 분말로써 그 분자식은 WC로 표시된다. 비중 16, 모스경도 9.8~9.9로써 거의 다이아몬드에 가까운 경도를 갖고 있다. 녹는점은 약 3000℃이나 강열(強熱)하면 분해해서 W2C와 C로 된다. 백열 텅크스텐을 메탄가스 또는 탄화수소 증기로 탄화해서 만든 것으로, 동시에 W2C, W3C, W3C4도 된다. 이것은 그대로 연마제로 해서 사용하는 것도 있으나 그 분말에 소량의 Co 기타 결합제를 가하여 압축 성형한 후 가열 소결해서 초경공구재로 사용하는 것이 많다. 탄화텅크스텐으로 만든 초경공구재에는 여러 가지 상품명을 붙인 것이 많다. 카바이트, 다이아몬다이트, 파쥬람, 페란, 하드메탈, 알루마이드, 스트라우스메탈, 텅갈로이, 이게탈로이 등 모두 그 예이다.
탄소공구강(high carbon tool steel): 탄소가 0.9% ~ 1.5% 정도 함유된 고탄소강으로 담금질하여 경화시킨 종류이다. 그러나 이것은 고온경도가 적어 일반적으로 절삭온도 약 300 이하의 저온에서 사용된다. 주로 저온절삭용, 총형바이트, 또는 수공구에 많이 이용된다. 이 탄소공구강을 보통 탄소강, 공구강이라 부른다.
초경합금[cemented carbide]: 탄화텅스텐 함유 합금. 고융점 탄화물의 분말을 체적비(體積比)에 의해 10~30%의 코발트 · 니켈로 소결(燒結)한 합금. 높은 경도와 강한 인성(靭性)을 가진 합금이다. 절삭용(切削用), 신선가공(伸線加工) 다이스, 각종의 내(耐)마모공구에 사용된다. 처음 개발된 초경합금은 탄화텅스텐을 코발트로 소결한 것이며, 현재는 탄화탄탈 등 탄화텅스텐 이외의 고융점 탄소화물 · 질소화물을 첨가한 합금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탄화티탄과 니켈이 주성분인 초경합금은 내열재료로서 연구되어 초경공구로 사용되고 있고, 일반적으로 서멧이라 한다.[지식백과]
합금 공구강(alloy tool steel): 탄소 공구강에 W, Cr, V, Mo 등의 합금원소 중에서 한 종류 또는 두 종류의 원소를 소량 첨가하여 경화능을 개선시킨 종류이다. 이것은 내열성이 부족한 결점이 있으나, 인성이 다소 높기 때문에 탭(tab), 다이스(dies), 톱날 등에 사용되며 프레스용 금형재료(SKDII)에도 널리 사용된다.
위 carbid 재질을 흔히 초경이라고 부른다. 하지만 이 초경에도 종류가 여러가지다. 흔히 초경이면서 코딩을 했다는 제품들이 있는데.. 그러한 "코팅공구"는 기존 재질의 초경합금(hard metal, cemented carbide) 모재에 경질의 ceramic 을 단층 또는 다측피복하여 인성과 내마모성을 높여준 것이라고 한다.
고속도강(high speed steel : HSS):
합금 공구강 보다 W, Cr, V, Mo 등의 합금원소를 더 많이 함유하는 고합금 공구강이다. 이 종류는 내열성이 뛰어나고, 인성도 양호하므로 절삭공구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트위스트 드릴(twist drill), 탭(tap), 호브(hob), 피니언커터(pinion cutter), 브로우치(broach), 엔드밀(end mill). 밀링커터(milling cutter) 등에 사용된다.
그외 참조용 자료 - 고속가공기술: http://www.mechapia.com/skill/RequestDataView.php?HomeID=machine&qid=47&page=&bC=
어떤 엔드밀을 사용해야..?
Carbide(카바이드/초경) / HSS (High Speed Steel=고속도강) / Coating(코팅 엔드밀)
목공용 엔드밀은 어떤 것을 쓰고 사용해야 하나..? 결론부터 말하자면.. 목공용 엔드밀은 아래와 같은 이유로 Carbide(=초경)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목공용 엔드밀은 금속가공용 엔드밀 보다 더 강한 것을 사용해야 한다.
결론은.. 초경 > 코발트 > HSS 순이다. 즉, 초경이 가장 좋고(?) 그 다음이 코발트., 그리고 HSS순이다.
HSS(High Speed Steel)는 고속도강이라고 하는데..한마디로 철이라는 거다. 이 재질은 오랫동안 절삭산업에서 사용 되어 온 재질이다. CNC 라우터 보다는 메뉴얼 작업에 적합하다.
초경(carbide) 엔드밀은 경도가 가장 강하다. 초경합금이란 금속 탄화물과 철의 결합금속을 분말 야금법으로 제작한 복함금속으로 소결탄화물 합급, cemented tungsten carbides, hard metal 이라고 부른다. 초경합금은 강도가 HRA 90이상으로 고온경도 및 강도가 양호하여 고온에서 변형되지 않므며 내마모성 및 압축강도가 높다.
초경은 HSS 보다 3 배 빠르게 작업할 수 있고, 3배 이상의 강도를 자랑하며 내구성 수명이 뛰어나다. 단점은 충격에 약하고 휘어지지 않아서..만약 콘크리드 바닥에 심하게(?) 떨어뜨리면 쉽게 부러질 수도 있다. 얼마나 심하게 떨어뜨리냐가 문제겠지.. 암튼 이 초경 엔드밀은 목공 CNC 라우터용 엔드밀 중 가장 많이 권장된다. 목공용 엔드밀은 금속용보다 내구성이 뛰어난 제품을 사용해야 함으로 목공 가공용으로 초경 엔드밀을 권장된다.
위 자료 및 기타 인터넷 정보를 취합해 볼 때..목공용 엔드밀의 경도/강도는..HRA 90.5를 사용하면 가장 좋은 것으로 보여진다. 하지만 문제는 가격일 것 같다. HRA90이라면 꽤 가격이 비싸질 것 같은데..정확한 건 아니지만..현재까지 알아본 정보를 기초로 개인적 추측해 본 목공용 엔드밀의 경도/강도는 약 +/- HRC55 또는 HRA78 내외 짜리가 적당할 것 같다. 거기에 마모도에 따른 목재의 절삭 퀄러티 등도 함께 고려하면 그보다 조금 낮은 수치도 크게지장은 없어 보인다.
다음의 예제를 가정해 보자. 아래 두 경우일 때 구매선택은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 아래 두 경우를 보면..각각의 엔드밀을 사용했을 경우.. 작업량과 작업시간은 동일하고, HRC값(HRA값이라고 해도 좋다)과 가격만 다르다. 따라서.. 1)의 경우는 좀 비싸지만 2일 작업할 동안 한 번만 구매를 하면 되고..2)의 경우는 두번 구매를 하는 셈이다.
1.) HRC 55 목공용 엔드밀 / 50,000원 / 작업량 10 / 작업시간 2일(즉 2일에 1개소모)
참고) 무조건 스핀들이 테이블 위에서 빨리 움직여서(FEED RATE), 가공물을 빠른 속도로 깍는(SPEED)다고 다 좋은 것은 아니다. 항상 장.단점이 있다.
Fast spindle with Slow Feed rate(느린 피스의 빠를 스핀들) = 칼날이 녹거나 타버림
Feedrate Spindle rpm
엔드밀의 재질에는 아래와 같은 다양한 재질이 있지만..목공용이라면 초경(=tungsten carbide, cemented carbide)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목공용 엔드밀은 금속용 엔드밀 보다 강도가 높은 엔드밀을 사용해야 한다. HSS와 같은 재질은 사용은 가능하지만 마모성 등 이런저런 요인을 감안할 때 고려 대상이다.
탄화텅스텐[tungsten carbide]: 미세한 입방형의 결정을 갖는 강회색의 분말로써 그 분자식은 WC로 표시된다. 비중 16, 모스경도 9.8~9.9로써 거의 다이아몬드에 가까운 경도를 갖고 있다. 녹는점은 약 3000℃이나 강열(強熱)하면 분해해서 W2C와 C로 된다. 백열 텅크스텐을 메탄가스 또는 탄화수소 증기로 탄화해서 만든 것으로, 동시에 W2C, W3C, W3C4도 된다. 이것은 그대로 연마제로 해서 사용하는 것도 있으나 그 분말에 소량의 Co 기타 결합제를 가하여 압축 성형한 후 가열 소결해서 초경공구재로 사용하는 것이 많다. 탄화텅크스텐으로 만든 초경공구재에는 여러 가지 상품명을 붙인 것이 많다. 카바이트, 다이아몬다이트, 파쥬람, 페란, 하드메탈, 알루마이드, 스트라우스메탈, 텅갈로이, 이게탈로이 등 모두 그 예이다.
탄소공구강(high carbon tool steel): 탄소가 0.9% ~ 1.5% 정도 함유된 고탄소강으로 담금질하여 경화시킨 종류이다. 그러나 이것은 고온경도가 적어 일반적으로 절삭온도 약 300 이하의 저온에서 사용된다. 주로 저온절삭용, 총형바이트, 또는 수공구에 많이 이용된다. 이 탄소공구강을 보통 탄소강, 공구강이라 부른다.
초경합금[cemented carbide]: 탄화텅스텐 함유 합금. 고융점 탄화물의 분말을 체적비(體積比)에 의해 10~30%의 코발트 · 니켈로 소결(燒結)한 합금. 높은 경도와 강한 인성(靭性)을 가진 합금이다. 절삭용(切削用), 신선가공(伸線加工) 다이스, 각종의 내(耐)마모공구에 사용된다. 처음 개발된 초경합금은 탄화텅스텐을 코발트로 소결한 것이며, 현재는 탄화탄탈 등 탄화텅스텐 이외의 고융점 탄소화물 · 질소화물을 첨가한 합금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탄화티탄과 니켈이 주성분인 초경합금은 내열재료로서 연구되어 초경공구로 사용되고 있고, 일반적으로 서멧이라 한다.[지식백과]
합금 공구강(alloy tool steel): 탄소 공구강에 W, Cr, V, Mo 등의 합금원소 중에서 한 종류 또는 두 종류의 원소를 소량 첨가하여 경화능을 개선시킨 종류이다. 이것은 내열성이 부족한 결점이 있으나, 인성이 다소 높기 때문에 탭(tab), 다이스(dies), 톱날 등에 사용되며 프레스용 금형재료(SKDII)에도 널리 사용된다.
위 carbid 재질을 흔히 초경이라고 부른다. 하지만 이 초경에도 종류가 여러가지다. 흔히 초경이면서 코딩을 했다는 제품들이 있는데.. 그러한 "코팅공구"는 기존 재질의 초경합금(hard metal, cemented carbide) 모재에 경질의 ceramic 을 단층 또는 다측피복하여 인성과 내마모성을 높여준 것이라고 한다.
고속도강(high speed steel : HSS):
합금 공구강 보다 W, Cr, V, Mo 등의 합금원소를 더 많이 함유하는 고합금 공구강이다. 이 종류는 내열성이 뛰어나고, 인성도 양호하므로 절삭공구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트위스트 드릴(twist drill), 탭(tap), 호브(hob), 피니언커터(pinion cutter), 브로우치(broach), 엔드밀(end mill). 밀링커터(milling cutter) 등에 사용된다.
그외 참조용 자료 - 고속가공기술: http://www.mechapia.com/skill/RequestDataView.php?HomeID=machine&qid=47&page=&bC=
어떤 엔드밀을 사용해야..?
Carbide(카바이드/초경) / HSS (High Speed Steel=고속도강) / Coating(코팅 엔드밀)
목공용 엔드밀은 어떤 것을 쓰고 사용해야 하나..? 결론부터 말하자면.. 목공용 엔드밀은 아래와 같은 이유로 Carbide(=초경)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목공용 엔드밀은 금속가공용 엔드밀 보다 더 강한 것을 사용해야 한다.
결론은.. 초경 > 코발트 > HSS 순이다. 즉, 초경이 가장 좋고(?) 그 다음이 코발트., 그리고 HSS순이다.
HSS(High Speed Steel)는 고속도강이라고 하는데..한마디로 철이라는 거다. 이 재질은 오랫동안 절삭산업에서 사용 되어 온 재질이다. CNC 라우터 보다는 메뉴얼 작업에 적합하다.
코발트(cobalt)
엔드밀은 HSS의 경도를 개선한 것으로 초경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하다. HSS에 코발트를 코팅하여 코발트
날/엔드밀 이라고 하기도 한다. 구입 시 코발트 코팅 혹은 함유여부를 고려하여 선택하면 된다.
코팅(coating)
엔드밀은.. "고속도강" 또는 "초경" 엔드밀에 별도의 코팅을 한 것으로.. 날부분에 코팅이 되어있어
샹크부분과 색깔이 다른 수 있다. 코팅은 티타늄, 다이아몬드(ex: TiN, TiCN, TiAIN,etc.)등으로 하며..코팅을 하면 엔드밀이
더 강해지고 오래 사용할 수 있으며 작업속도도 빠르다. 하지만 그래서 가격도 비싸진다. 엔드밀을 코팅하는 이유는.. 공구에
발생되는 "마찰과 열전달을 줄여" (칩이 잘 빠져 나가도록하여) 엔드밀의 수명을 늘리고 표면경도를 높여 공구의 수명을 늘리기 위해서라고 한다.
문제는 경도가 높아질 수록 가격이 비싸진다는 것이겠지..
코팅(COATING) 방법에는
Painting, 전기도금, vapor peposit(CVD=화학연착법, PVD=물리연착법)등이 있다. CVD는 900-1000도씨 이상의
고온상태에서 초경공구에 반응가스를 통과시켜 코팅하는 것이며 PVD는 가스의 플라즈마 상태에서 생기는 이온을 이용하여 코팅하는 방법이다.http://cafe.naver.com/cncpro/2
초경(carbide) 엔드밀은 경도가 가장 강하다. 초경합금이란 금속 탄화물과 철의 결합금속을 분말 야금법으로 제작한 복함금속으로 소결탄화물 합급, cemented tungsten carbides, hard metal 이라고 부른다. 초경합금은 강도가 HRA 90이상으로 고온경도 및 강도가 양호하여 고온에서 변형되지 않므며 내마모성 및 압축강도가 높다.
초경은 HSS 보다 3 배 빠르게 작업할 수 있고, 3배 이상의 강도를 자랑하며 내구성 수명이 뛰어나다. 단점은 충격에 약하고 휘어지지 않아서..만약 콘크리드 바닥에 심하게(?) 떨어뜨리면 쉽게 부러질 수도 있다. 얼마나 심하게 떨어뜨리냐가 문제겠지.. 암튼 이 초경 엔드밀은 목공 CNC 라우터용 엔드밀 중 가장 많이 권장된다. 목공용 엔드밀은 금속용보다 내구성이 뛰어난 제품을 사용해야 함으로 목공 가공용으로 초경 엔드밀을 권장된다.
엔드밀의 경도,
강도..HRA, HRB, HRC, etc.
그리고 엔드밀 혹은 절삭공구 구입 시
고려해야 할 또 다른 요소는 "경도" 혹은 "강도"이다. 가끔 판매된는 제품에 경도값(HRC)/강도갑(HRA)을 표시해 둔 것들이
있다. "HRC"란..
Rockwell Hardness measured on the C scale 을 지칭하는 것으로 일명 "로크웰 경도"라고 한다.
*경도:
표면의 굳기(단단함). 국부 소성 변화에 대해 저항하는 능력.
*강도:
물질에 응력을 가했을때 변형에 저항하는 능력. 물질 전체의 강함.
초경의 경도(=강도)를 말할때는 대게
HRA을 사용한다.
HRC, HRB 및 HRA의 A, B,
C는 로크웰 경도의 "스케일 기호"라고 한다. 로크웰 경도C측정에 사용되는 "압자"(시편을 누르는 부분)를
사용하는데 "다이아몬드콘" 과 "Ball"이 사용된다. A, C는 다이아몬드콘 압자를 사용하고, B는 볼압자를 사용한다고 한다. HRC,
HRB, HRA, HA,HS 등은 서로 다른 스케일로 환산이 가능하다
B기호는 압입자
1588mm강구, 주하중 100kgf 소하중 100kgf, C는 다이아몬드 압입자, 주하중 150kgf 소하중 10 kgf이며, A는 B로
측정한 것을 sa-370에 있는 표로 환산한 것이라고 한다. A~R의 기호가 있지만 A,B,C외에 다른 스케일기호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HRC는
로크웰경도기 C 스케일로 경도를 측정한 것이며, 대게 HRC 40-50이며 HRC가 50~70은 High Hardened Steel 로
"고경도강"이라 할 수 있다. 쉽게 말하자면.. HRC는 제품의 표면경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HRC값의 숫자가 높을
수록 강도가 강하다는 것이며 가격도 상당히 비싸진다.
이 경도값이 높다는 것은 취성이
높고(파손) 단단하다는 것이며 경도가 낮으면 연성이나 휨 발생이 쉽다. 간혹 HRA값으로 표시된 제품들도 있을 수
있는데..그런 경우에는 경도환산표를 참조하면 도움이 된다. 경도환산표는 인터넷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위 두 그림은 일본의 어느 ?엔드밀업체의
기술자료중 일부를 발췌한 것이다.
각 엔드밀의 강도 및 열내구성, 권장
가공물 등이 나타나 있는데
위 자료 및 기타 인터넷 정보를 취합해 볼 때..목공용 엔드밀의 경도/강도는..HRA 90.5를 사용하면 가장 좋은 것으로 보여진다. 하지만 문제는 가격일 것 같다. HRA90이라면 꽤 가격이 비싸질 것 같은데..정확한 건 아니지만..현재까지 알아본 정보를 기초로 개인적 추측해 본 목공용 엔드밀의 경도/강도는 약 +/- HRC55 또는 HRA78 내외 짜리가 적당할 것 같다. 거기에 마모도에 따른 목재의 절삭 퀄러티 등도 함께 고려하면 그보다 조금 낮은 수치도 크게지장은 없어 보인다.
다음의 예제를 가정해 보자. 아래 두 경우일 때 구매선택은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 아래 두 경우를 보면..각각의 엔드밀을 사용했을 경우.. 작업량과 작업시간은 동일하고, HRC값(HRA값이라고 해도 좋다)과 가격만 다르다. 따라서.. 1)의 경우는 좀 비싸지만 2일 작업할 동안 한 번만 구매를 하면 되고..2)의 경우는 두번 구매를 하는 셈이다.
1.) HRC 55 목공용 엔드밀 / 50,000원 / 작업량 10 / 작업시간 2일(즉 2일에 1개소모)
2.) HRC 25 엔드밀 /
25,000원 / 작업량 10 / 작업시간 2일(즉 2일에 2개소모)
*결과물의 퀄러티는 동일하다고 가정하자.
위 경우일 때 어떤 구매방법을 택해야
할까? 권장답안은 2)번이지 않을까 싶다. 물론 개인적인 견해다. 왜냐하면 비록 1개의 날로 2일 작업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날이
마모되고, 마모된 날로 작업하면 깔끔한 결과물을 얻는데 방해가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2)번의 경우에는.. 비록 2개를 구매하더라도..1개의
날을 마모/소모한 후.. 다시 새로운 날을 사용하는 것이 더 좋은 작업결과물을 얻을 수 있어서 전체적으로 2번의 경우가 더 좋은 결과물을 얻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물론 정답은 없다. 효율성과 가성비를 고려할 때 그렇다는 것이다.
아래는 코팅 엔드밀 제품의 예제 그림인데
그냥 참조만 하시라..영문에 코팅 제품에 대한 설명이 있으니 역시 참조만 하시라.
초경 원자재
제조업체..
대표적인 초경 원자재(carbide rob=초경환봉, 고속도강봉
이라고 한다. 아래 그림 참조)를 생산업체로는 Hitachi, Hertel, Sandvik, Sumitomo, Mitsubishi, Walter, OSG, Gühring
등이 있다. 이 초경 원자재를 깍아서 절삭공구를 만드는 것이다. 이중에서 일본의
MITSUBISHI, Sumitomo 와 독일의 Guhring 제품 등이 유명한데.. 문제는 가격이 엄청 비싸다는 것이다.
특히 Guhring 제품이 성능등은 뛰어나지만 상대적 값이 너무 비싼편이다.
엔드밀 제조 생산에 쓰이는 원자재(carbide
rob, 초경완봉)
초경 원료
제조업체에는 일본회사가 많은데 왜 그런지는 모르겠다.
엔드밀은
소모품이다. 따라서 사용자 입장에서 가격이
가장 중요할 수 있다.
특별히 공구의 마모가 너무 심하지 않으면 거래하던 업체에서 좋은 가격으로 구입하면 된다. 엔드밀
생산 업체는 거의 대부분 초정밀 장비인 (유럽산) 5축 CNC 생산 장비를 사용하기 엔드밀의 구조 (디자인)만 같으면
어떤 업체에서
구입하건 상관없이 거의 비슷하다. 국내 제조업자라도 원자재인 철강(원자재)을 80%
이상 중국에 수입
의존하고 있어서(중소기업뉴스 참조) 완제품만을 놓고 보면 사실 거의 비슷비슷한 제품이라고 봐도 무관할 것 같다. 오히려 핵심은 원재료인
carbide rod이 어떤 회사제품인지가 영향을 미치지만..위에 언급했듯소위 알만한 유명업체의 엔드밀 원재료의 문제는 가격이 비싸다는
것이다.
비싸지만
하나의 (마모를 감수하며) 엔드밀을 오래 쓸 것인지..저렴하지만 자주 새로운 날을 구입할 것인지는 사용자의 선택이다. 목공 엔드밀 어떻게 구매하는 것이 합리적인가?
HSS
- The majority of end milling cutters will be made from standard High Speed
Steel (M7).
Cobalt -
For tougher machining applications cobalt end mills will be required. Cobalt is
a M42 tool steel with an 8% cobalt content. It usually will require a premium
price. Cobalt end mills allow for an increase in feed rates over regular M7. At
Melin, we offer our complete line of tools in M42 cobalt steel, but all are
priced at M7 price levels.
Carbide
- This tool material combines increased stiffness with the ability to operate at
higher SFPM. Carbide tools are best for shops operating newer milling machines
that do not have much chatter as the material can be brittle. Carbide end mills
require a significant premium price over the cobalt end mills, but they can also
be run at speeds 2 1/2 faster than HSS end mills. For best results mount in a
hydraulic type holder.
All
types of end mills must be handled with care. This is particularly important
when storing in the Tool Crib. Tools should be stored in a tube protector or
dipped in a protective coating. Tool life will be significantly shortened if the
tool edge is damaged.
Special
Note about Coatings
- The use of coatings will increase the surface hardness of the
tool. This will allow for greater tool life and/or increased cutting speeds
& feeds (between 15 - 25%). Standard coatings available at Melin include
Titanium Nitride (TiN), Titanium Carbonitride (TiCN), and Aluminum Titanium
Nitride (AlTiN). These coatings are all available at the same price, depending
on the tool. Other coatings available includeTitanium Aluminum Nitride (TiAlN),
Zirconium Nitride (ZrN), Diamond, and Black Oxide.
엔드밀 스피드(speed) 와 피드(feed)
엔드밀의 Feed rate 와 Speed 에 대해 알아보겠다.
CNC 라우터 작업 시, 스핀들에 원하는 칼날을 끼워서 칼날이 돌아가는 속도 - 스피드(SPEED, RPM)
스핀들이 라우터 테이블을 가로진르며 (x,y,z 축) 이동하는 속도 - 피드(FEED RATE). (가공물은 테이블에 고정되어 있이니 스핀들이 움직여야 되겠죠.)
참고) 무조건 스핀들이 테이블 위에서 빨리 움직여서(FEED RATE), 가공물을 빠른 속도로 깍는(SPEED)다고 다 좋은 것은 아니다. 항상 장.단점이 있다.
가공물에 따라 피드속도(FEED RATE)와 스피드(SPEED)가 다르게 셋팅해야 한다. 기본 원칙은 깔금하게 깍을 수만 있다면, 최대한 빨른 속도로 처리하는 것이 좋다. 만약 칼날이 한 곳에서 오랫동안 머물르면 많은 열이 발생하면, 열은 칼날을 손상 시키며 칼날의 수명을 단축 시키는 요소가 된다. 간단히 요약하면...
Fast spindle with Slow Feed rate(느린 피스의 빠를 스핀들) = 칼날이 녹거나 타버림
Slow spindle with Fast feed rate(빠른 피드의 느린 스핀들) = 칼날의 마모, 파손
아래 도표는 정형화된 차트입니다. 그냥 참조 바랍니다.
Feedrate Spindle rpm
The
speed at which we move a cutter across the material is called the “feed rate”.
The rate of rotation is called the “speed” and is controlled by how fast the
router or spindle turns the cutting tool. Both feed rate and spindle speed will
vary based on the material being cut. A general rule of thumb is that you want
to move the tool through the material as fast as possible, without sacrificing
surface finish. The longer the tool rotates in any one place, the more heat that
builds up. Heat is your enemy and can burn your material or radically decrease
the life or your cutting tool. Feed rate vs spindle speed:
-Spindle
speed that is too fast paired with a slow feed rate can result in burning or
melting.
-Spindle
speed that is too slow paired with a faster feed rate can result in dulling of
the cutting edge, deflection of the end mill and possibility of breaking the end
mill.
A good
strategy when selecting a cutter is to attempt to balance feed rate and spindle
speed by performing two passes on the work piece. The first pass, called the
roughing pass, can be done by using an end mill that will eject a large number
of chips at a high feed rate. The second pass, called the finishing pass, then
won’t require as aggressive of a cut and can provide a smoother finish at a high
speed.
목공용
목재용 초경 역날 엔드밀 팝니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