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공용 엔드밀 스피드, 피드 값 구하기..
우선 한글 명칭이다
그리고 위 그림은 영문 명칭을 설명한 그림인데.. 엔드밀의 스피드와 피드 값에 대한 설명자료는 거의 대부분 해외 자료를 참조한 것임으로 영문 명칭을 참조해야 한다. 이 포스팅도 외국 자료를 참조로 할 것임으로 영문 명칭에 대해 알아두는 것이 좋다.
그 외 관련 명칭에 대한 설명 그림이다. 이것도 참조하시라.
-Helix Radius: 30도 (일반적으로 30도~45도. 각도가 크면 연하고 질긴소재 가공시 절삭이 부드럽고 칩 배출성이 좋다.)
-Corner Radius: 0 (평엔드밀은 0도) 코너 반지름이란.. 엔드밀 "날"의 끝부분에 각도가 들어간 것을 말한다. 엔드밀 날의 끝에 각도를 넣는 이유는 이 부분이 파손이 잘 일어나기 때문이며 "날"끝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미세하게 특정 각도로 "각"을 넣기도 한다.
-Lead Angle: 엔드밀과 가공물 간의 각도를 말한다. 위 그림 참조.
-Lead Angle: 엔드밀과 가공물 간의 각도를 말한다. 위 그림 참조.
-Axial Depth of Cut: 절삭시 절삭깊이를 말한다. 위 그림 참조.
-Radial Width of Cut: 절삭폭. 위 그림 참조.
그리고 위 그림 및 설명은 본격적인 엔드밀 스피드와 피드 값에 대해 포스팅하기 전에 명칭에 대한 참조용으로 살펴보기 바란다. 아래 작성된 본격적인 엔드밀의 스피드와 피드 값 설명시 알아두어야 할 명칭에 대한 이해를 위한 것이다.
자, 그럼 본격적으로 CNC 엔드밀의 스피드와 피드 값에 대해 알야보자.
본격적인 설명에 앞서 전에 포스팅했던 글을 참조하기 바란다. 반복되는 얘기지만 엔드밀의 스피드와 피드 값에 대한 정해진 닶은 없다. 즉, 정형화된 값은 정해져 있지 않다는 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포스팅을 작성하는 이유는.. 다만 도움 또는 참조의 목적이다. 따라서 본 포스팅이 엔드밀의 스피드와 피드 값 설정에 대한 검증된, 확고한 정답은 아니다. 다만 엔드밀의 스피드와 피스 값을 찾는데 도움이 되고자 할 뿐이다. 그리고 이 포스팅은 아래 사이트에 나와 있는 스피드 와 피드 값 계산기를 토대로 작성되었음을 밝힌다.
1. Workpiece/Tool material
-우선 가공물 및 공구 재질을 선택하는 부분이 있다. 이 선택 부분에서 workpiece 즉, 가공물의 종류를 선택한다. 목재는 나와 있지 않다. 하여, 목재를 가공한다면.. plastic, soft non-metal 또는 hard non-metal 옵션을 선택하면 좋을 듯하다. 물론 목재가 없음으로 꼭 맞는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말이다.
2. Hardness: workpiece의 강도를 나타냅니다. 인장강도(kg/mm^2)는 브리넬 경도값의 1/3 또는 로크윌C 경도값의 3.2배와 대체로 같습니다. σ ≒ HB/3 ≒ 3.2*HRC
3. Tool Type: 어떤 Tool인지를 선택합니다. 엔드밀을 선택하면 됩니다.
4. Tool Material: Tool Type을 선택하면 초경(carbide)이 선택됩니다.
5. Coating: 공구에 코팅이 되어있으면 코팅 종류를 선택합니다. 코팅이 없으면 none입니다.
6. 그다음에.. Tool Data를 선택하는 메뉴가 있습니다. Unit은 편의상 mm를 선택합니다.
7. Tool Dia: Tool Diameter=공구의 직경을 타이핑하여 입력합니다.
8. N # of Flute: 날수를 입력합니다. 2날이면 2, 4날이면 4를 입력.
-SFM 는 Surface Feet per Minute(분당 표면 피드속도)를 의미합니다. Max.RPM값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Feed %는 사용하고 있는 기계에서 허용하는 피드값의 %를 의미합니다.
-Max. RPM: 맥시멈RPM값을 의미합니다.
10. 그런 다음 "Calsulation" 버튼을 누르면 우측에 "Result"란에 결과가 나타납니다. 이곳에서 Feed값과 RPM값을 참조할 수 있습니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